의대 교과,학생부 전형 점수 계산시 문의드립니다. 지방 인문계고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생 학부모입니다. 학교에서는 과학을
지방 인문계고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생 학부모입니다. 학교에서는 과학을 3개만 선택할 수 있어서 3개 이수 중 입니다인서울 의대 대학별 환산점수 계산시 국,영,수,과학이 포함이 되는데 과학 같은 경우는 학생 마다 과학이수 갯수가 다른데 2,3,4개 이수한 경우 대학별 환산점수 계산이 어떠한 차별이 있을까요? 2개 듣는 학생과 4개 듣는 학생은 같은 1등급을 받았더라도 어떠한 차이가 있어야 할 거 같은데요. 2개 듣는 학생은 1등급 받을 확률이 높지만 4개 듣는 학생은 모두 1 받기가 매우 힘들텐데 학생부 종합에서는 이런 부분이 어느 정도 반영이 되는 것으로 들었는데 학교장 추천 교과 전형 같은 경우는 이런 부분이 반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학교별 모집요강에는 그러한 설명은 따로 없고 반영교과만 나와 있어서요.대학별환산점수 계산시 개인마다 이수학점이 다른데 이수학점 상위 점수를 넣어서 환산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그리고 국영수과사회,한국사 외에 제2외국어와 같은 전과목을 환산하는 대학교가 어디인지도 얼려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인문계라 1등급이다라 ~~ 내신점수만 보는게 아니라 학생 세부사항을 봅니다
의대는 제가 알기로는 학생발달사항을 선생님이 구체적으로 1학년 부터 3학년까지 써줘야 합니다
그게 되어서 가능할 수도 있고 학교수준이라 학교수준은 제가 다 알 수 없는데
그 학교에서 의대를 간 케이스가 있으면 가능해요 수준이 낮더라도 근데 케이스 없다 좀 불리 할 수도 있습니다 인서울이라고 해서 좋다 그렇지 않습니다 지방의예과 가서 서울권대학병원에서 수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왜 인서울대를 알아볼려고 하는지 모르겠는데 의대는 거기서 거기입니다
물론 서울권으로 가서 자교대학병원에서 좋은 환경에서 근무하면 좋으나 전문의 취득하면 똑같아요
약주고 끝납니다 요즘 의원급 병원 다 환자가 없어서 치열하는데요
외과의 아니고는 지방대 나와서 먹고는 살 수 있습니다 왜 인서울만 바라보는지 모르겠고
곳 내과, 약주고 하는 의사분들은 거의 멸종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료보험이 거의 대부분이 노인층 점점 노령화가 되기 때문에 외과의가 많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예전보다는 점점 늙어도 의약품이 좋아서 오래 살 수도 있고 그러다보니 건강보험이
적자입니다 약주고 하는 의사분들은 거의 멸종이다 요즘 의원급병원 가면 어서오세요
합니다 의사라고 해서 좋냐 그렇지 않은 것 같고 예전보다는 힘들겁니다
전 그래요 의대에 미친나라 치고 잘 되는 것은 없다 앞으로는 과학자들이 더 많이 필요하는데
학모님이라고 하니 저희 누님도 의사지만, 이미 끝났습니다 의사로 돈을 많이 벌 수 있다
기존에 의원급 의사분들이 다 벌고 있고 더 이상 벌게없죠
집 밖에만 나가도 병원 몇개 되는데 되겠어요?
페이닥터 옛말이고 성형외과의사도 아닌 이상 돈 많이 벌고 자리에서 앉아서 의사노릇 못합니다
불친절하면 병원 오지도 않습니다 환자가 돈인데 글쎄요 가능하겠어요?
조금만 의사가 권위적이다 환자는 안옵니다 의사 천지에 있는데 과거 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