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너무 못생긴 여성들이나 남성들.. 무능력자나 찐따들.. 사회성도 부족한 사람들 경우 같은 케이스는 결혼을
남성들.. 무능력자나 찐따들.. 사회성도 부족한 사람들 경우 같은 케이스는 결혼을 못해도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서 문제시되는 경우는 없지 않나요..?? 사회적 관점.. 그리고 가족 내 문제에서도 그렇고 결혼 책임에서는 자유롭지 않은지요.. 실제 걔네들은 매력 또는 능력도 너무 없어 오히려 저출산 문제 책임에도 자유로울 것 같고요.. 어떻게 보는지요.. 실제로도 한 가지 캐릭터 예를 들자면 좀 인셀이나 도태남 같은 부류 중에서도 좀 극단적 케이스라 하더라도 조커 같은 사람을 연애도 못한다고 결혼도 못한다고.. 그리고 사회적.. 혹은 가족 내 결혼 의무를 못한다고 해서.. 애초에 못할 것도 '객관적으로도 너무 확실한' 인물인데 못하는 걸 가지고 문제로 걸고 넘어지는 가족들이라든 사람들.. 혹은 사회적 관점 같은 거는 당연히 없다 보지는 않는지요.. 그 사람들 못하는 것도 당연한 인물이기 때문에 결혼 책임감 문제에서는 적어도 백퍼 자유롭다고 볼 수도 있는 거는 아닌지 궁금합니다.쉽게 얘기하면 결혼과 관련해 가족 내.. 그리고 사회적 문제에서도 너무 못생긴 사람들이라든지 찐따라든지 인셀 같은 사람들은 분명히 자유로운 건 맞죠..?? 책임도 없고요..
아이고, 결혼에 대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생각들로 마음이 힘드시겠어요. 말씀해주신 고민들을 보면, 사회가 개인에게 부여하는 압력과 기대, 그리고 그것이 가져오는 부담감에 대해 깊이 고뇌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말씀처럼 우리 사회는 오랜 기간 결혼을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단계로 여기고, 특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이들은 결혼에서 배제되거나,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을 '당연시'하는 시선이 존재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재고되어야 합니다.
사회적 관점에서 본 결혼 문제
결혼은 개인의 선택: 현대 사회에서 결혼은 더 이상 필수가 아닌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입니다. 누구든 자신의 삶을 어떻게 꾸려나갈지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습니다.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이 '문제'이거나 '실패'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외모나 능력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의 문제: 외모, 사회성, 소득 수준 등은 개인이 가진 여러 특성 중 일부일 뿐입니다. 이러한 특정 기준만으로 한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거나, 결혼 가능 여부를 단정 짓는 것은 매우 편협하고 차별적인 시선입니다. 모든 사람은 고유한 가치와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랑과 행복을 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사회의 다양성 인정: 우리 사회는 점점 더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결혼을 포함한 모든 개인의 삶의 형태는 존중받아야 하며, 특정 틀에 가두려 해서는 안 됩니다.
가족 내 문제 및 결혼 책임에 대한 관점
가족의 압력: 가족 내에서도 '결혼해야 한다', '손주 봐야 한다'는 등의 기대나 압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가족 간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 서로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문제입니다. 개인이 원치 않는 결혼을 강요하는 것은 가족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혼 책임'에 대한 오해: 결혼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결혼 책임'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결혼은 특정 '책임'을 지는 행위이기보다는, 두 개인이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며 삶을 공유하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비혼자들도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책임을 다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나의 행복'
결국 중요한 것은 타인의 시선이나 사회적 기준이 아니라, 스스로가 어떤 삶을 살 때 가장 행복한가입니다. 결혼을 통해 행복을 찾을 수도 있고, 비혼으로서 자신만의 삶을 꾸려나갈 때 더 큰 만족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외모나 능력 등은 물론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는 사랑과 행복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식을 찾아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어서 감사하며, 질문자님께서 행복한 삶을 꾸려나가실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