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원정출산이 나쁘기만 한 걸까요? 자기가 자기 돈 들여 하는것이고 현재 우리나라 상황을 볼때 전
자기가 자기 돈 들여 하는것이고 현재 우리나라 상황을 볼때 전 원정출산을 하는 것이 나쁘지 않다 봐서죠.원정출산을 비판하는 사람은 대체 왜 그런걸까요?자기는 못 하는데 남은 하니까 배 아파서 그런것 아닐까요?
질문해 주신 주제는 워낙 민감하고 여러 시각이 갈리는 부분이라 더 고민이 많으셨을 것 같아요. 말씀하신 것처럼 원정출산(해외에서 출산하는 것)은 개인이 자기 선택과 비용으로 하는 것이니 단순히 “나쁘다”라고만 보긴 어려운 면도 있습니다. 다만 사회적으로는 여러 가지 논쟁이 있는 게 사실이에요.
왜 원정출산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을까?
공정성 문제
일부는 원정출산을 “특권층만 누릴 수 있는 편법”으로 보는 시각이 있어요.
돈과 여유가 있는 사람들만 자녀 국적 선택권을 갖는다는 점에서 불평등하다고 느끼는 거죠.
국적 제도의 악용
출산만으로 국적을 취득하는 나라(미국 등)의 제도를 이용해,
병역·세금 의무를 피하거나 유리한 조건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비판받기도 합니다.
국가 정체성 문제
태어난 아이가 한국에서 교육·성장을 하지만 법적으로는 다른 나라 국적을 가지게 되면,
사회적 혼선이나 정체성 문제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꼭 “나쁘다”라고만 볼 수 있을까?
개인 입장에서는 아이에게 더 넓은 기회를 주고 싶다는 마음에서 하는 선택일 수 있어요.
실제로 해외 국적을 가진 아이가 교육·취업에서 더 다양한 길을 선택할 수도 있고요.
그래서 “자기 돈 들여 자기 선택 하는 건데 왜 문제냐”라는 시각도 충분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 정리
비판하는 이유: 불평등, 국적 제도 악용, 사회적 혼란 우려
옹호하는 이유: 개인 자유, 자녀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려는 선택
결국 “무조건 나쁘다/좋다”라기보다는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영향 사이에서 균형을 어떻게 잡느냐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