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미국달러 보유. 매도 ??? 안녕하세요. 지금 미국에서 금리 인하를 9월부터 연말까지 3차례 정도 한다고
안녕하세요. 지금 미국에서 금리 인하를 9월부터 연말까지 3차례 정도 한다고 한는데미국 경기가 안좋다는 뜻으로 달러가 내려가겠죠?우리나라 경기 또한 박살이 날건 불보듯 뻔하네요.제가 달러를 좀 가지고 있어서요.경기가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안좋은데 달러를 가지고 있어야 될지 팔아야 될지조언좀 부탁드립니다.고수님이시라면 이럴때 달러를 어떻게 하실지????부탁들립니다.안녕하세요네이버 답글보고 문의 드립니다.지금 미국에서 금리 인하를 9월부터 연말까지 3차례 정도 한다고 한는데미국 경기가 안좋다는 뜻으로 달러가 내려가겠죠?우리나라 경기 또한 박살이 날건 불보듯 뻔하네요.제가 달러를 좀 가지고 있어서요.경기가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안좋은데 달러를 가지고 있어야 될지 팔아야 될지조언좀 부탁드립니다.고수님이시라면 이럴때 달러를 어떻게 하실지????부탁드립니다.
전략적 조언은…
1. 달러 전부 매도는 위험
달러는 단순 환차익뿐 아니라 위기 대비 보험 같은 역할을 합니다. 전부 팔아버리면 경기 충격 시 원화 가치 하락에 그대로 노출됩니다.
2. 분할 매도 + 분할 보유
• 일부는 원화로 환전 → 생활비, 국내 투자자금 활용
• 일부는 달러 자산 그대로 보유 (달러 예금, 달러 MMF, 달러 표시 채권, 미국 ETF 등)
→ 이렇게 하면 “달러 약세 시 환차익 손실”과 “위기 시 원화 급락” 양쪽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3. 자산 다변화
• 경기 둔화 국면에서는 미국 장기채 ETF (예: TLT, ZROZ) 같은 자산이 금리 인하 수혜를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 금, 금 ETF(ACE KRX금현물, GLD 등)도 달러 약세와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좋은 자산입니다.
>> 달러를 보험 성격으로 일정 부분은 계속 보유하고, 일부는 **환차익 실현 겸 국내 투자나 다른 안전자산(미국 장기채, 금)**으로 옮기는 “절반 전략”을 쓰겠습니다.
즉, “달러 올인 or 달러 전량 매도”가 아니라 분산 대응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