끼택.반택 등 다 조사해서 뜻은알고있습니다그런데 궁금한점이 스토어팜이나당근.번장에 택비 적어놓는 기준을 어떻게 잡는지 궁금합니다kg마다 차이가 있는데 예를들어 3500원 4000원 이렇게 딱 정해져서 토탈금액이 측정되는데요 저기서 무게가 오버되서 금액이 더 나가게될경우는 어떻게 해야되는걸까요?그리고 문제시 반품같은경우는 반품비 측정을 어떻게 해야될까요?도와주세요
택배 비용 설정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많으시군요! 온라인 판매에서 택배비 관리는 정말 중요한 부분이에요. 제가 몇 가지 팁을 정리해 드릴게요.
기본 택배비: 보통 기본 택배비는 2,500원부터 시작하지만, 제주나 도서산간 지역은 추가 요금이 붙어요. 예를 들어, 제주도는 3,000원, 도서산간 지역은 7,000원이 더해져요.
무게와 크기에 따른 추가 요금: 택배비는 무게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보통 350g, 5kg, 10kg, 20kg 등으로 구분해서 요금을 정해요. 예를 들어, GS25 편의점 택배는 0.35kg 기준으로 시작하고, 무게가 초과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해요.
지역별 설정: 스토어팜이나 다른 플랫폼에서 지역마다 배송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고객에게 정확한 배송비를 안내할 수 있답니다.
사전 공지: 택배비 설정할 때 무게가 초과될 경우를 대비해 고객에게 미리 알려주는 게 중요해요.
추가 요금 안내: 무게가 초과되면 추가 요금이 생길 수 있음을 명시하고, 결제 방법도 안내해야 해요.
반품비 설정: 반품비는 상품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보통 5,000원에서 15,000원 사이로 정해져요. 스토어팜에서는 반품비를 상품 가격에서 빼거나 고객이 직접 결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요.
택배사 지정: 반품 시 사용할 택배사를 정할 수 있고, CJ대한통운 같은 지정 택배사를 통해 반품 절차를 진행할 수 있어요.
정산 방식: 반품비가 정해지면 고객이 반품 신청할 때 자동으로 차감되거나 미리 결제할 수 있어요. 반품 택배비는 판매자 계좌로 들어오거나 택배사로 직접 지불될 수 있어요.
부가세 포함 여부: 택배비에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반품 택배비 설정할 때 부가세를 생각해서 조금 높게 잡는 게 필요할 수 있어요.
이런 요소들을 고려해서 택배비와 반품비를 설정하면 판매와 반품 처리가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각 플랫폼(스토어팜, 번개장터, 당근 등)의 정책과 택배사의 요금 체계를 잘 확인하고 설정하는 게 중요해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